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 충민사 [사적 제381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07
조회
56
■ 시 대 : 1601년(조선 선조 34년)
■ 소재지 : 여수시 충민사길 52-23(덕충동)
■ 내 용 : 마래산 기슭에 위치한 충민사는 1601년(서조 34) 체찰사 이항복이 왕명으로 민정 시찰을 마친 후 통제사 이시언에게 명하여 건립한 것이다. 사우 건립 후 우부승지 김상용의
계청으로 선조의 사액(賜額)을 받은 이충무공 관련 최초의 사당이며, 통영의 충열사보다는 62년 전, 1704년(숙종 30년)에 건립된 아산의 현충사보다는 103년 전에 건립되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주벽(主壁)으로 하고 의민공 이억기, 충현공 안홍곡이 좌우로 배향되었다. 그 후 숙종 35년 충민공 이봉상을 신묘로 모시고 석천제를 창설하였고
영조 8년(1732)에 사우를 중수하였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충민단만 남기고 모두 철거되었다가, 고종 10년(1873) 지역 유림들의 진정으로 다시
중건하고 판서 윤용술의 제액을 걸었다.
건축적 특징으로는 사우 건물 크기를 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으로 기단은 3단의 장대석으로 짜고 3군데의 계단을 통해 오르게 되어있다. 주초는 원형이고 그 위로
민흘림의 둥근기둥을 세웠는데, 기둥 위로는 포작없이 보아지와 쇠서, 창방이 결구되었고 장여와 도리가 연결되었는데 그 사이로 화반을 끼워 넣었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활주가 설치되지 않았으며 부연이 있다.
창호는 중앙어간이 사분합이며 양일간은 삼분합으로 모두 띠살문이다. 이 건물은 1978년에 정화사업을 실시하고 주변을 정리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참고자료
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9, 『우리지역 문화재도록』.
2)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여수시의 문화유적』.
이전:
여수 선소유적 [사적 제392호]
다음: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보물 제1862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