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 흥국사 동종 [보물 제1556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09
조회
53
■ 시 대 : 1665년(조선 현종 6년)
■ 소재지 : 여수시 중흥사길 160(중흥동)
■ 내 용 : 범종각에 걸려있는 이 종의 명문에 의하면 강희 4년(1665) 순천 동리산(桐裏山 혹 桐螳山) 대흥사(大興寺 혹 大眞寺)에서 주조한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어떻게 해서 이곳
흥국사에 보관되고 있는지 그 연유는 밝혀진 것이 없다. 명문은 유곽 하단에 세로로 양각되어 있는데 그 일부분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康熙四年乙巳三月日」 全羅道順天地桐裏山」 大興寺鑄成大鍾重七」 百五十斤」 願以此功德普及於一」 切我等與衆生皆共成」 佛道」 執綱大禪師性逸比丘」
施主秩……
이 종은 천판에 열 개의 연잎을 양각하였고, 그 위에 쌍룡의 용뉴(龍鈕)와 작은 원형공이 음통을 대신하고 있다. 음통을 처음부터 그렇게 조성한 것인지 아니면 후에 음통이
탈락된 것인지 알 수 없다. 종신 4면에는 보살입상이 조각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역시 네 곳에 유곽을 두어 그 안에 3×3개의 연꽃 봉오리를 양각하였다. 상대는 따로
두지 않고 모두 13개의 작은 ○안에 범자문을 두른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양식을 취하고 있다. 즉 ○안에 범어 옴마니반메훔을 한 글자씩 두 차례 양각하고, 나머지 한 ○안에는
왼쪽으로부터 3단에 걸쳐 ‘六字」 大明王」 眞言’이라고 쓰여있다.
하대에는 당초문을 양각하였다.
※ 참고자료
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9, 『우리지역 문화재도록』.
이전: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보물 제1566호]
다음: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보물 제1550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