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흥국사 십육나한도 [보물 제1333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10
조회
52
■ 시 대 : 1723년(조선 경종 3년)
■ 소재지 : 여수시 중흥사길 160(중흥동)
■ 내 용 : 여수 흥국사 십육나한도는 현존하는 조선 후기 십육나한도 중 最古의 작품으로 義僧水軍의 본고지였던 여수 흥국사에서 1723년 응진당 봉안을 목적으로 화사 의겸의 주도 아래
그려진 작품이다.
흥국사 십육나한도는 삼베 바탕에 총 6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사찰 내 義僧水軍 유물전시관 2층에 걸려있으나 원래는 응진당에 석가설법도를 중심으로 좌우 각 3폭씩
봉안되어 있었다. 화면에는 십육나한 외에도 迦葉, 阿難尊者와 帝釋, 使者, 神將이 함께 표현되어 있으며, 십육나한의 존명은 각 존자의 아래쪽, 화면 테두리 부분에 먹으로
기록되어 있다.
흥국사 십육나한도는 조선 후기 십육나한도 중 가장 수묵·담채적 경향이 강한 작품이며, 상호의 윤곽을 먹으로만 그렸고 潑墨을 선호했으며, 가사의 문양은 朱, 黃, 綠靑,
群靑으로 이루어진 同心圓點文을 선호하였다.
흥국사 십육나한도는 명대 판본인 『三才圖會』 「人物 9卷」에 수록된 佛祖圖像 중 총 13개의 도상을 수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한 폭에 여러 존자가 함께 표현되는 점을
고려하여 권속들이나 경물을 과감히 생략하고 존자의 형상 중심으로 수용하였으며,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존자들의 자세나 경물의 위치를 바꾸는 등 도상을 적절히
변용시켰다. 또한 『三才圖會』 도상 중 대다수가 五代 宋·元代의 대표적인 나한도상에 그 연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명대 萬曆年間 무렵 팽배해 있던 역대 명화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흥국사 십육나한도는 尊像 배치에 있어서 3가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이전에 제작된 십육나한 관련 불화와 달리 여러 폭에 나누어 십육나한을 표현하였다는 점이며,
둘째, 화기를 통해 각 존자의 존명은 물론, 좌측에는 홀수 존자를, 우측에는 짝수 존자를 배치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셋째, 십육나한의 가장 안쪽에
가섭과 아난존자, 가장 바깥 폭에는 호법 신중들을 함께 배치하였는데 이는 현존하는 조선 후기 십육나한도 중 유일하게 17세기 응진전 내 십육나한상의 배치체계를 충실히
계승한 예에 해당한다.
흥국사 십육나한도는 의겸의 탁월한 역량이 드러난 작품으로 명대 『三才圖會』의 도상을 적극 수용하여 화폭에 맞게 과감히 변용시켰고 尊像 배치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참고자료
1) 신광희, 『여수 흥국사 십육나한도 연구』, 미술사학연구 255권 255호.
2) 문화재청 GIS통합인트라넷시스템
이전: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보물 제1550호]
다음:
흥국사 수월관음도 [보물 제1332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