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흥국사 수월관음도 [보물 제1332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10
조회
50
■ 시 대 : 1723년(조선 경종 3년)
■ 소재지 : 여수시 중흥사길 160(중흥동)
■ 내 용 : 관음탱화는 수월관음으로 조선 중기의 작품이면서도 사라(紗羅) 등은 고려 불화의 양식을 갖고 있다.
좌우의 암벽을 배경으로 정면을 향하고 양손을 무릎 위에 두고 연화대에 반가부좌로 앉아있는 관세음보살상이다. 관음상의 붉은 보관에는 화불이 있고 통견의 가사는 붉은 빛과
흰빛이 조화를 이루어 약간 푸른색을 띄고 있다. 붉은 색의 군의는 두 다리와 발까지 완전히 덮고 있다. 신광은 둥글게 1조의 흰색선을 활용하여 표현하였으며 두광은 원형으로
바탕에 녹색을 가득 채웠다. 본존불의 오른쪽 무릎 아래에 선재동자가 합장하고 서있어 관음보살임과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의 지시에 의하여 선지식을 찾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면 왼쪽 암벽 위에는 푸른 나무가 서있고, 약간 작은 오른쪽 바위에는 버드나무를 꽂은 정병이 묘사되어 있는데 그 위로 관음조가 날고 있다. 연화대 아래로는 안개 속에
파도가 일렁이고 있어 신비스러움을 더해준다. 나머지는 황색계통의 빈 공간을 그대로 두고 있으나 초록색 두광과 하얀 원으로 처리한 신광이 화면을 채우고 있어
안정감이 있다.
중앙 하단의 화기란에는 “雍正元年癸卯孟夏全羅左道」 順天靈鷲山興國寺觀音殿上壇後佛」 基布施主 處士 覺明」 彩色大施主 朴夢致單身」 ◻施主 嘉善俊敏比丘」…”
이라는 내용을 통해 조선 경종 3년(1723)에 그려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화질에 기록된 화원에는 의겸(義謙), 향오(香悟), 신감(信甘), 적조(寂照), 즉심(卽心),
환척(亘陟), 회안(回眼), 향민(向敏), 양운(良運), 민희(敏熙), 채인(彩仁) 비구의 이름이 나타나있다.
※ 참고자료
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9, 『우리지역 문화재도록』.
2)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여수시의 문화유적』.
3) 문화재청 GIS통합인트라넷시스템
이전:
흥국사 십육나한도 [보물 제1333호]
다음: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331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