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보물 제578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12
조회
49
■ 시 대 : 1693년(조선 숙종 19년)
■ 소재지 : 여수시 중흥사길 160 (중흥동)
■ 내 용 : 이 불화는 대웅전 삼존불 후불탱화로 조성되었다. 흥국사 불화 중에서 가장 조성시기가 올라가는 후불탱화로 1690년 대웅전이 낙성된 지 3년 후에 조성·봉안되었다. 석가여래가
법화경을 설법한 인도 영취산에서 법회를 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도이다.
화면 가운데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협시하고 있는 삼각형 구도를 이루고 있다. 석가모니불 뒤로는 여섯 보살이, 그 뒤로는
다시 여러 성중과 권속들이 횡으로 늘어서 있어 역삼각형 구도를 이룬다. 그리고 협시보살 옆 불단의 좌우에는 사천왕이 두 분씩 시립하고 있어 전체적으로는 중앙의 주불을
중심으로 완전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의 불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처럼 석가여래를 한복판에 크게 배치하여 주제를 뚜렷이 살리고자 큰 인물은 자세히, 작은 인물은 약간씩 원근법을 사용하였으며,
끝이 없는 천공을 흑색으로 짙게 처리한 색채감은 불화 가운데 으뜸이라 할 수 있다.
두광의 녹색과 등장인물의 옷깃에 표현된 약간의 검은색을 제외하면 화면 전체가 탁한 주홍색 일색이다. 그런데도 꽃무늬나 옷, 주름의 선 등에 금색이 가늘게 묘사되어 있어
품격있는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아래쪽에 마련된 화기에 “康熙三十二年 癸酉 靈鷲山」 興國寺 靈山會畢功安于 奉爲」 主上三展下 萬歲壽萬歲」 國泰民安 法輪常輪」 基布大施主 前別將
供養大施主 通政大夫 張七慶」 記付……”라고 되어있는데, 1693년(숙종 19) 왕의 만수무강과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하여 천신과 의천 두 승려화가에 의하여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참고자료
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9, 『우리지역 문화재도록』.
2)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여수시의 문화유적』.
3) 문화재청 GIS통합인트라넷시스템
이전:
여수 타루비 [보물 제1288호]
다음:
여수 통제이공 수군대첩비 [보물 제751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