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 통제이공 수군대첩비 [보물 제751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13
조회
63
■ 시 대 : 1615년(조선 광해군 7년)
■ 소재지 : 여수시 고소3길 13(고소동)
■ 내 용 : 이 비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여수 경찰서장 마쓰끼가 1942년 봄, 민족 정기를 말살하기 위하여 대첩비각을 헐고 대첩비와 타루비까지 반출해 버렸던 것을 1946년 경복궁
뜰에서 김수평씨가 발견하여 이충무공대첩비 복구기성회를 구성하고, 1948년 5월 24일 여수에 복구하였다. 대첩비는 국내 비석 가운데 최대로 길이 3.6m, 폭 1.27m,
두께 27㎝에 달한다.
통제이공수군대첩비는 세밀히 장식한 기단과 귀부가 1매의 돌로 되었다. 귀부에는 세장한 다리와 형식적인 머리, 그리고 등에는 육갑문이 표현되었다. 그 위에 장방형의
비좌를 마련하여 비신을 세우고 이수를 얹었다. 비문 상단에는 「統制李公水軍大捷碑」라고 전각 되었고, 비제는 「有明朝鮮國正憲大夫行全羅道水軍節度使兼忠淸全羅慶尙
三道水軍統制使 贈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德豐府院君諡忠武李公水軍大捷碑幷序」이다. 비는 아래에 연화문이, 전면은 중앙에
여의주를 중심으로 2마리의 용이 구름에 둘러 쌓인 채 다투는 형상이다. 후면은 구름무늬와 꽃무늬가 조식 되었고, 맨 위에는 꽃무늬의 보주가 있다.
이 비는 이충무공의 부하로 있다가 전라좌수사, 황해병사를 지낸 유형이 돌을 보내 김상용이 전을 쓰고 이항복이 비문을 지었으며, 비문은 명필 김현성이 새겼다. 끝부분에
「萬曆四十三年五月立」이란 명문이 있어 광해군 7년(1615)에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비의 왼쪽에는 숙종 24년(1698) 남구만이 지은 비의 건립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기록에는 이순신의 막료로 활약하였던 수군통제사 유형과 좌수영지역의 유지 및 후손들의
노력으로 건립하게 된 경위를 비롯하여, 이때 여수 타루비도 대첩비 옆으로 옮겨 세우고, 비각을 세워 보존하였다는 비 건립 전후의 기록이 밝혀져 있다.
※ 참고자료
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9, 『우리지역 문화재도록』.
2) 문화재청 GIS통합인트라넷시스템
이전: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보물 제578호]
다음:
여수 흥국사 홍교 [보물 제563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