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보고서
홈
> 조사연구 > 연구자료 > 보고서
보고서
보고서
학술연구
[문화유적 학술조사보고 9] 여수 전라좌수영 동헌지(여수 전라좌수영 동헌지 정비사업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관리자
2022년 01월 07일 10:54
조회
171
조사는 2015년부터 계획된『전라좌수영 동헌 일원 복원 기본계획』에 따른 유적의 보존 및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된 시굴 조사 및 정밀 발굴조사이다. 전라좌수영 동헌 일원은 2018년 (재)전
남문화재연구원에서 1,843㎡에 대해 선행 발굴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이번 발굴조사는 선행 조사지역 Ⅰ구역 서쪽 연접구간과, Ⅱ구역 북쪽 연접구간에 해당한다.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Ⅲ구역은 고지도 및 고문헌을 살펴볼 때, 운주헌의 서쪽에 해당하는 백화당과 공사문이 위치했던 영역으로 추정되며, Ⅳ구역은 호좌수영도에서 내아가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었다.
조사 결과, 건물지 5동, 축대시설 1기, 배수로 1기, 담장 3기, 연지 1기, 구 1기, 적심 시설 9기, 보도시설 1기, 폐기장 1기, 지진구 등이 확인되었으나, 일제강점기 및 후대 민가 조성과 철거
과정 중 상당 부분 훼손된 것으로 판단된다. 잔존상태가 비교적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과 같은 전라좌수영 동헌의 건물지와의 상관성을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
가 있다. 하지만 Ⅲ구역 1호 건물지 아궁이 시설 주변과 동-서 방향의 담장열에서 16세기 분청사기 및 방곽문 암키와 등이 출토되고 있으며, Ⅳ구역의 구상유구 내에서 분청사기가 출토되고
있어 16세기부터 일제강점기 이전 시기까지 건물이 위치하고 있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다만, 동헌지가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부 지역에 한정적인 조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동헌 추정지의 전체적인 건물의 배치는 파악할 수 없었다. 또한 일제강점기부터 최근까지 민가 조
성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던 곳으로 교란이 심하게 이루어져 건물지와 관련된 대부분 시설이 훼손되었고, 건물지 내 중첩 관계가 수차례 확인됨에 따라 건물지의 구체적인 성격과 구조를 파악하
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금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건물지가 백화당 및 내아와 관련한 시설일 가능성이 있어, 『호좌수영지』 등 고문헌에 기록된 동헌 일원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겠으나,
향후 동헌지 일원에 대한 전체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전:
[시굴조사] 순천 서면 죽평리 401답 일원 태양광 발전시설 예정 부지 내 유적(순천 서면 죽평리 401답 외 태양광발전시설 예정부지 내 시굴조사)
다음:
[시굴조사] 장흥 수인산성(장흥 수인산성 사적지정을 위한 자료조사 용역)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