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Loading...

보고서

> 조사연구 > 연구자료 > 보고서
[시굴조사] 장흥 수인산성(장흥 수인산성 사적지정을 위한 자료조사 용역)

관리자 2022년 01월 07일 10:57 조회 186

크기변환_17

             
            ‘장흥 수인산성’은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대리 산 225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561m의 수인산 정상을 비롯하여 주변의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두르고 계곡을 가로질러
            축조한 포곡식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의 복합식 산성구조를 보이고 있는 전라도 남해안지역의 대표적인 입보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는 전라남도 기념물 제59호로 지정되어 있는 ‘장흥 수인산성’에 대한 사적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향후 조사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성벽은 내성과 외성의 2중 구조로 축조되었으며, 총 둘레는 5,515m, 내성은 약 2,603m, 외성 약 2,912m, 전체면적은 94,993㎡이다. 내·외성은 급경사면의 산 능선상에 성벽을 축조하여 여
            장 정도의 시설만으로도 적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고 체성의 너비와 높이가 1m 내외의 낮은 평여장을 택하고 있다.
   
            남문지와 내옹성 주변 조사 결과 문루로 추정되는 건물지 1동이 확인되었으며, 남문지 체성 하단부에서 확인되는 세장방형의 할석을 이용하여 축조한 고식의 축조수법이 확인되었다.
            또한 트렌치 내에서는 인화문토기 등 나말여초의 기와편들이 출토되어 수인산성의 초축시기를 추정해볼 수 있는 자료가 확인되었다.
            내·외성 연접구간에 대한 트렌치 조사를 통해 수·개축의 흔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수·개축이 이루어진 성곽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양상이다. 성벽은 자연 암반 위에 쌓았으며,
            주변에서 구득한 석재를 이용하여 다듬지 않은 면석을 사용, 축성방식에 있어서도 계획성이 떨어지는 점 등을 통해 볼 때 여말선초 입보용 산성의 특징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