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보물 제1550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09
조회
59
■ 시 대 : 1628~44년(조선 인조 6~22년)
■ 소재지 : 여수시 중흥사길 160(중흥동)
■ 내 용 :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은 본존 석가여래와 오른쪽 제화갈라보살, 왼쪽 미륵보살로 이루어져 있다. 좌상의 본존불이 140㎝, 좌우 보살상이 각각 144, 147㎝ 크기의 등신대
입상인 점에서 주목되며, 보살상의 보관에는 “提花菩薩大明崇禎”, “慈氏菩薩大明崇禎”이라 쓰여있다. 즉, 이 삼존상은 보관에 새겨진 명문에 의해 崇禎年間(1628-1644)이라는
대체적인 조성연대 및 제화갈라, 미륵이라는 확실한 존명을 알 수 있는 점에서 시기적, 도상적 기준을 제시해주는 작품이다. 특히 보관에 명문을 새긴 예는 그렇게 많지 않은데
보관의 관대 끈에 묵서로 명문을 적은 1649년(順治乙丑) 전라북도 완주 송광사의 사천왕상이 있다.
더불어 석가여래삼존상에 보이는 방형의 길쭉한 얼굴과 개성적인 이목구비의 표현, 장대한 크기, 목걸이와 영락을 비롯한 화려한 장신구 등 우수한 조각기법이 돋보이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참고자료
1) 정은우,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연구』, 역사와 담론 65호.
이전:
여수 흥국사 동종 [보물 제1556호]
다음:
흥국사 십육나한도 [보물 제1333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