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시작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로그인
회원가입
TEL
061-686-8080
FAX
061-686-8081
E-mail
narra0120@daum.net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2023 (재)나라문화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전화걸기
메뉴열기
(재)나라문화연구원
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연구원 소개
인사말
조직도
찾아오시는 길
조사연구
조사현황
연구자료
조사의뢰
자료신청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소통마당
갤러리
영상으로 만나는 나라
알림마당
공지사항
유관기관 소식
문화사업
질의응답
© (재)나라문화연구원
지역 문화재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지역 유적 현황
여수 지역 문화재
홈
> 지역 문화재 > 여수 지역 문화재
여수 타루비 [보물 제1288호]
관리자
2022년 10월 11일 17:12
조회
55
■ 시 대 : 1603년(조선 선조 36년)
■ 소재지 : 여수시 고소3길 13 (고소동)
■ 내 용 : 조선 중기의 명장인 이순신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이다.
통제이공 수군대첩비 오른쪽에 있는 비로 타루비의 비좌 이하는 땅에 묻혀 알 수 없으나 비좌는 장방형으로 앞과 옆면에 네모꼴 안상을 마련하고 그 안에 풀무늬와 여의주
무늬를 조각하여 장식하였으며 상면은 중판의 연화문을 새겼다. 옥개 부분에도 앞면과 옆면에만 나선형의 구름무늬가 표현되었을 뿐 후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이
처리되었고 그 위 상부는 반원형의 원봉형 보주가 있다.
‘墮淚碑’라는 명칭이 앞면에 크게 새겨져 있으며 비명 아래 비문은
營下守卒 爲統制使 李舜臣立 短碣名曰 墮淚
盖取襄陽人思羊 而望其碑則 淚必墮者也
라고 새겨져있다.
‘타루(墮淚)’란 눈물을 흘린다는 뜻으로, 중국의 양양 사람들이 양호(羊祜)를 생각하면서 비석을 바라보면, 반드시 눈물을 흘리게 된다는 고사성어에서 인용하였다.
그 옆에 ‘萬曆三十一年秋立’이라 새겨져 있어 비를 세운 연대를 알 수 있다.
타루비는 통제이공 수군대첩비와 함께 보물 제571호로 일괄 지정되어 있었으나, 여수 주민들이 분리하여 보물로 지정할 것을 정부에 건의하여 1998년 11월 27일
보물 제1288호로 지정되었다.
※ 참고자료
1) 여수지역사회연구소, 1999, 『우리지역 문화재도록』.
2) 조선대학교박물관, 2000, 『여수시의 문화유적』.
3) 문화재청 GIS통합인트라넷시스템
이전: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331호]
다음: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보물 제578호]
목록